사주팔자 김선생 사주 보는 앱을 만들려면 음력 양력 변환 알고리즘이 필요합니다. 사용자가 음력은 알고 찾아서 일일이 양력으로 변환해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음력을 양력으로 변환해주는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함수 인수에 0을 넣으면 평달, 1을 넣으면 윤달이고 윤달 아닌날에 1을 넣어도 평달로 표기가 되게 했습니다. 음력을 양력으로 변환해주는 함수 윤달 선택 function gf_Lun2Sun($GF_YEAR , $GF_MONTH , $GF_DAY , $GF_YOUN = 0 ){ // 음력 데이터 (평달 - 작은달 :1, 큰달:2 ) // (윤달이 있는 달 - 평달이 작고 윤달도 작으면 :3 , 평달이 작고 윤달이 크면 : 4) // (윤달이 있는 달 - 평달이 크고 윤달이 작으면 :5, 평..
사주팔자 김선생 사주 보는 앱을 만들려면 양력 음력 변환 알고리즘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10년지기 대운과 운이 바뀌는 시기는 24절기로 계산을 하는데 24절기는 12절기와 12중기가 이루어져 있으며 양력과 음력은 11일 차이가 나기 때문에 윤달을 두어 양력에 맞춥니다. 이미 만세력 데이터 베이스에 양력이 표시 되지만 그래도 프로그램 알고리즘이 필요해서 함수로 만들었습니다. 양력을 음력으로 변환해주는 함수 윤달표시 Function gf_Lun2Sun($GF_YEAR , $GF_MONTH , $GF_DAY){ $year= $GF_YEAR; $month = $GF_MONTH; $day= $GF_DAY; $LUNAR_LAST_YEAR = 1939; $lunarMonthTable = array( array(2,..
우리나라 세시 풍속 중에는 설날, 추석, 정월대보름, 한식, 단오 등 많은 풍속이 있는데요. 사주에서 윤달과 손없는날은 매우 많은 의미를 부여합니다. 손 없는 날에 손은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사람에게 해코지한다는 악귀 또는 악신을 말하며, 나쁜 귀신이 돌아다니지 않아 인간에게 해를 기치지 않는 길한 날을 의미하는데요. 음력으로 날짜를 9와 0으로 끝나는 날이 모든 방향으로 귀신이 활동하지 않는 날이라고 합니다. 음력에서 윤달은 평년보다 한 달이 더 있는 달로 '공달' 또는 '썩은달' 이라고도 합니다. 옛 우리 선조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탈이 없는 날이다'라고 할 만큼 어떤 일을 해도 부작용이 없으며, 무슨 일을 하여도 해가 될 것이 없고 득이 될 것도 없는 달이다. 그래서 윤달을 이용하여 집수리, ..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시간은 동경시입니다. 동경 135도에 맞춰져 있는데요. 우리나라 정확한 우리나라 표준시는 동경 127.5도로 지금 시간에서 30분 정도로 서울과 동경은 약 12도 차이가 나는 시간대를 쓰고 있어서 일출/일몰시간이 상당히 차이가 납니다. 사주팔자에서는 시간에 따라 일주가 변경이 되는데요. 우리가 생각하는 현재 시간에서 30분을 빼야 합니다. 즉 23시 ~ 01:30분에 태어나신분은 이전 날짜로 사주를 봐야 합니다. 하지만 사주 보는 날짜, 양력 날짜, 음력 날짜 전부다 생각하면 복잡해질 수밖에 없는데요. 그렇다고 30분 빼고 시간을 말하시면 사주가 틀려지니 있는 시각 그대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 사주팔자에서 보는 시각 자시 - 子 (23:30 ~ 01:29) 축시 - 丑 (01:..
사주를 볼때 맞는 사람이 있고 맞지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는 사주를 볼때 만세력이라는 날짜를 기준으로 음양오행을 계산하여 사람의 성격, 대길운, 건강상태 방향을 결정짖게 하는데 자신이 태어는 시간과 날짜를 잘 알지 못하면 다른 사주가 나오겠지요. 그래서 사주볼때 주의 해야 할점은 태어난 날짜와 시각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사주팔자 김선선생 앱을 만들 예정이고 만세력은 음력 음양오행으로 되어 있습니다. 사주 태어난 시각 주의 할점 1) 사주시계 사주의 시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자연시, 태양시가 필요합니다. 태양시는 내가 서 있는 자리에서 태양이 머리의 정중앙에 뜨는 시각인데요. 그러나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시각은 표준시에요. 표준시는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동쪽과 서쪽으로 1..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