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금융

주거용 오피스텔·빌라 담보대출, 온라인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이용 방법

김깐죽 2024. 10. 6. 23:46

2024년부터 주거용 오피스텔빌라도 아파트처럼 온라인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통해 대출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이번 정책은 청년과 서민 등 오피스텔과 빌라에 거주하는 이들의 주거 금융비용 절감에 크게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점들을 주의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대출 갈아타기

 

반응형

 

온라인 대출 최저금리로 갈아타기

 

주거용 오피스텔·빌라 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란?

기존에는 아파트만을 대상으로 제공되던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가 이제 주거용 오피스텔과 빌라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이 서비스는 대출비교 플랫폼과 금융회사 앱을 통해 기존 대출을 조회하고 더 유리한 조건의 대출로 변경하는 과정을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온라인에서 대출을 갈아타기 위해서는 대출 비교 및 선택 → 대출 신청 → 대출 심사 → 대출 약정 및 실행(상환)의 4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오피스텔·빌라 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참여 금융기관.(제공=금융위원회)

 

반응형

 

대출 온라인 갈아타기

 

 

반응형

 

서비스 참여 금융회사 및 플랫폼

2024년 기준으로, 이 서비스에 참여하는 금융회사는 총 29개입니다. 이 중 13개 금융사(은행 12개, 보험사 1개)가 신규대출을 제공합니다. 이용자는 6개의 대출비교 플랫폼13개 금융회사의 앱을 통해 금리와 대출 한도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대출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죠.

 

온라인 대출 갈아타기

 

반응형

 

온라인 대출 갈아타기 절차

  1. 기존 대출 조회 및 비교
    먼저, 사용자는 대출비교 플랫폼이나 금융사 앱을 통해 기존 대출의 금리와 잔액을 확인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 대출을 받고자 하는 금융사의 금리와 한도를 비교합니다.
  2. 신규 대출 선택 및 신청
    금리 비교를 마친 후, 갈아타고 싶은 신규 대출 상품을 선택합니다. 해당 금융사의 또는 영업점을 통해 대출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대출 신청에 필요한 대부분의 서류는 금융사가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대신 확인할 수 있지만, 등기필증전입세대 열람명세서 등은 비대면으로 제출해야 하므로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3. 대출 심사
    대출 신청 후 금융사는 대출 심사를 진행합니다. 오피스텔의 경우 현장 실사를 통해 주거 목적 사용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심사 결과는 1~2주 이내에 통보됩니다.
  4. 대출 약정 및 실행
    대출 심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앱이나 영업점을 통해 대출 약정을 체결하고 대출 조건을 최종 확정합니다. 이후 신규 대출 금융회사가 기존 금융사로 대출금을 상환하면서 대출 갈아타기 절차가 최종 완료됩니다.

 

온라인대출 갈아타기

 

반응형

 

주의해야 할 사항

  • 기존 대출을 받은 지 6개월 이상 지난 경우에만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합니다.
  • 연체 상태이거나 법적 분쟁 상태인 대출, 저금리 정책금융상품 등은 갈아타기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대출 심사 과정에서 오피스텔과 빌라의 시세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시세 산정 모델(AVM)이 활용되며, 이를 통해 아파트와 비슷한 수준으로 정확한 시세가 제공됩니다.

 

결론

주거용 오피스텔 및 빌라 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는 기존 아파트 대상의 서비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를 통해 주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청년층과 서민들에게 큰 혜택이 될 것으로 기대되니, 기존 대출을 보유한 분들은 대출비교 플랫폼과 금융사 앱을 통해 본인의 대출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더 유리한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지 검토해보세요.

더 자세한 내용이나 문의 사항이 있다면, 금융위원회 또는 금융감독원의 관련 부서에 문의해보세요!


문의: 금융위원회 중소금융과(02-2100-2992), 금융감독원 금융IT안전국(02-3145-7135), 은행감독국(02-3145-8040), 금융결제원 금융정보업무부(02-531-1770)

반응형